민주노총
금속노조
비정규직
노조

TOP
전체신문보기

어느 정년퇴직자의 죽음. 노사합동 퇴직 후 프로그램 절실
| 편집부 | 조회수 1,681
얼마 전 퇴근길에 만난 옛 동료로부터 안타까운 소식을 접했다. 에쿠스공장에서 10여년을 함께 일했던 형님께서 급작스런 죽음을 맞으셨다는 것이다. 
세상이 험해 사람의 생사를 장담할 수 없다고는 하나 큰 충격이 아닐 수 없었다. 왜냐하면 고인께선 작년까지 근무하시다 정년퇴직하신지 불과 며칠 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물론 평소 건강관리를 소홀히 한 탓에 남들보다 기력이나 체력이 많이 뒤쳐진다는 것을 모르는바 아니나 그래도 퇴직한지 며칠됐다고 벌써 세상을 등지셨는지 그저 비통할 따름이다. 
특히나 회사의 경영전략에 의해 공장이 해체 된 후, 함께 근무했던 동료들이 전 공장으로 흩어진 탓에 미쳐 부고를 알리지 못해 빈소마저 초라했다하니 더욱 애석하기만 하다. 현자지부 조합원의 평균연령과 근속이 45세와 20년을 넘어서고 있는 지금, 고인의 급작스런 죽음은 많은 것을 시사한다. 신규인원 충원보다는 정년퇴직자의 수가 갈수록 늘어나는 구조에서 위와 같은 사례는 계속해서 재연 될 소지가 다분하다. 
특히 경제성장이라는 구호아래 평생을 일에 묻혀 살아 온 노동자에게, 별다른 교육이나 보호제도 없이 퇴직시키는 것은 마치 갓 태어 난 신생아에게 걸음마를 강요하는 것과 같은 이치이기 때문이다. 
선진국의 경우 정년 퇴직자에 대한 재활교육이나 보호 프로그램이 잘 구축돼있어 자칫 불안정할 수 있는 퇴직 노동자의 삶을 체계적이고 안정적인 방향으로 이끌고 있다. 이는 노동자가 국가 발전의 원동력이며 기업성장의 중심 축 이란 것을 정부나 기업 스스로 인정하는 데서 기인한다. 
물론 이런 사회안전망이 구축되기까지는 노동조합의 역할이 크게 작용했슴은 모두가 인정하고 있다. 퇴직하는 순간 노동자를 퇴물로 보는 한국사회의 정부나 기업의 태도와는 사뭇 다른 모습이 아닐 수 없다.
물론 퇴직자의 재취업이나 노후 프로그램 제도 마련등은 국가가 책임지고 수행해야 할 사업이지만 현재 한국사회의 정치수준이 삼류라는 것을 감안할 때 불가능 할 것으로 보인다. 
때문에 노동조합과 회사가 연계해서 정년퇴직하는 선배노동자에 대해 제도적 장치를 마련하는 것이 지름길이 될 수 있다. 현대차가 현재처럼 눈부신 고속성장을 이룬 배경에는 퇴직한 또는 퇴직을 앞둔 선배노동자들의 노고와 희생이 담보되었기 때문에 가능했다는 것을 주지해야 한다. 
퇴직하는 노동자는 그 순간 퇴물이 아니라 현대차의 소중한 고객이며 노동조합에 대한 사회적 고립을 막아 줄 방패막이라는 사실을 인식하고 정년퇴직자에 대한 교육, 재활, 보호 프로그램 마련을 위해 노사 모두가 진지한 고민을 해주길 바란다.

선전위원 이상규 blog.daum.net/pooreun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