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노총
금속노조
비정규직
노조

TOP
전체신문보기

독립노동언론과 노보 함께 가는 길
| 편집부 | 조회수 2,194

박  성  국
매일노동뉴스 대표

노동조합에서 발행하는 노보도 정정보도를 해야 할까. 최근 언론중재위원회는 전국언론노조 KBS 부산울산지부(부울지부)에 정정보도를 주문했다. 정정보도 청구자는 KBS 부산총국 한 간부와 김인규 KBS 사장이다.  
사건의 경위는 이랬다. 부울지부는 지난 7월 13일에 발행된 부울노보에‘21세기 신 보도지침’이라는 기사를 실었다. 기사는‘반값 등록금’문제에 대한 시사프로그램을 다뤘다. 노보는“KBS 편제국 팀장이 윗선의 지시라며 야권의 선거전략이라는 전제에서 시사프로그램 제작에 임할 것이라는 발언을 했다”고 폭로했다. 노보는 이를  KBS 사측의 편집권 독립 침해와 편파 보도라고 비판했다. 
그런데 언론중재위 부산중재부는 지난 8월 3일“반값 등록금 문제가 각 당에서 정파적으로 이용하니 객관적으로 보도하라고 말한 것”이라는 KBS 사측의 손을 들어줬다. 부울지부에 반론보도하라는 직권 결정을 내린 것이다. 일반 국민을 위한 매체도 아니고 조합원을 대상으로 한 신문임에도 이 같은 결정을 했다. 그것도 노보를 정기간행물로 취급하지 않는 우리 사회 관행에서 볼 때 매우 이례적이다.   
이 사건은 사용자측이 노보까지 표현의 자유를 제한하고 노조의 사내 비판행위를 막으려는 사례다. 노보의 특수성을 고려하지 않은 채 사용자측의 신청을 받아들인 언론중재위의 편파성도 드러났다. 이 사건은 노동자의 눈·귀·입인 노보의 역할이 왜 중요한 지 일깨워 줬다. 노보 또한 보도의 성역은 있을 수 없다. 그것이 사용자측이든 정권이든 노조 내부의 문제이든 마찬가지다. 부울노보 사건이 보여준 의미다. 또 하나의 언론인 노보의 역할을 생각한다면 너무나 당연한 결론이다. 
부울노보 사건은 노동자와 함께하는 언론의 필요성도 제기했다. 사용자측과 국가기구 그리고 거대 보수언론에 맞서는데 노보의 힘만으로는 모자라기 때문이다. 노보가 일선 노동현장의 언론이라면 독립노동언론은 이것을 확대재생산한다. 사업장 담벼락을 넘어, 국민에게 노동문제를 공정하고 객관적으로 보도하려 한다. 
노보와 독립노동언론은 그간 노동(진보)언론이라는 울타리에서 함께 성장했다. 엄혹했던 군사정권 시절, 지하 인쇄소에서 유인물을 찍어내 몰래 배포하는 것에서 출발했던 노동언론은 그간 눈부실 정도로 발전했다. 노조의 기관지와 속보 유인물, <매일노동뉴스>와 같은 독립노동언론이 발행되면서 거듭났다. 현재에는 인터넷 기반의 다양한 소통수단도 활용하고 있다. 노보와 독립노동언론은 떼려야 뗄 수 없으며, 상호 지원하는 속에서 동반성장해 온 관계다. 
땡볕에서 소금밭을 일구는 사람이 있다면 이를 맛있게 먹는 사람도 있다. 노보를 만드는 간부와 이를 읽고 성원해 주는 조합원이다. 노보는 간부와 조합원 간 소통하는 데 없어서 안 될‘소금’과 같다는 얘기다. 눈부신 소금꽃을 피워내는 것은 모든 이들이 관심을 갖고 지원해야 가능하다.  독립노동언론의 대표를 맡고 있는 필자는 이를 잘 이해하고 있다. 금속노조 현대자동차지부에서 노보의 칼럼란을 맡겼을 때 열 일 제치고 참여했다. 벌써 현대자동차지부 조합원과 지면을 통해 만나온 지 2년 여가 흘렀다. 그간 필자의 졸고를 성원해 준 현대차지부 조합원과 집행간부들께 감사드린다. 
언론에도 편이 있다. 앞으로도 독립노동언론과 노보는 한 울타리 안에 있다는 것을 새기며 언제든 함께하겠다는 것을 약속드린다.